디스크 쿼터(Disk Quota)

리눅스는 멀티 유저 시스템으로, 여러 사용자들이 동시에 하나의 리눅스 시스템에 

접속해서 작업을 하게 되는데, 특정 사용자 혹은 그룹이 과도하게 고정된 HDD 공간을 

사용하게 되면 다른 사용자들의 디스크 사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럴 때, 관리자는 Disk Quota를 사용해서 사용자나 그룹별로 HDD의 사용량이나 

저장할 수 있는 파일의 개수를 지정해서 리소스를 제한해주어야 한다.

 

디스크 쿼터를 적용할 HDD 추가

 

추가된 default 설정으로 HDD 파티셔닝

 

마운트포인트 '/quotaHome' 디렉토리에 '/dev/sdb1' 마운트 진행

 

/etc/fstab 수정으로 부팅 시 자동 마운트를 설정

 

/etc/fstab 설정 후 remount 옵션으로 재마운트를 실행

 

quota초기 설정의 순서

 

쿼터설정 시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quotaoff 상태로 진행하며,

기존에 쿼터가 설정 되어있지 않은 디스크의 경우 'quotacheck -augmn' 명령어 입력 시

'aquota.user' 파일이 생성됨을 알 수 있다.

 

'edquota -u test01' 명령어로 사용자별 디스크 사용량을 제한

 

상단에 보이는 soft, hard의 의미로는 각각 'soft limit', 'hard limit' 이며,

Soft Limit :  일정 유예기간을 두고 파일을 정리할 수 있게끔 경고를 발생시키는 한계를 의미

---> grace(유예기간)과 관련있다, CentOS7 기준 default 값은 7days 이다.

Hard Limit : 최대 한계치를 의미하며, 이 이상의 파일저장을 실행 시 오류 에러메시지와 함께 파일 저장이 불가함 

 

test1 사용자에게 hard limit 12MB 설정 후, 용량을 초과하는 파일 저장을 시도 및 에러 메시지 확인

 

동일한 파일을 복사했음에도 불구, 쿼터 설정으로 인해 일부분이 손실된 상태로 복사됨을 확인

참고자료 상에서는 생략 되었지만, soft limit으로 설정한 10MB를 도달하게 되면 

경고메시지가 출력된다.

 

 

** root(관리자)는 쿼터에 구애를 받지않고 제한없이 HDD를 이용할 수 있다.

** CentOS 7 이후부터는 새로운 저널링 기법을 사용하여 쿼터를 설정하도록 권장하지만,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고 하여 기존의 방식대로 설정해보도록 하겠다.

(첨부 사진 중 분홍색 강조표시 된 부분이 저널링 기법이 적용된 디스크 쿼터설정)

 

 

 

'Linux_Syst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LVM  (1) 2022.09.22
[Linux]RAID  (0) 2022.09.20
[Linux]DNS_Basic  (1) 2022.09.09
[Linux]Remote_access  (0) 2022.08.26
[Linux]Boot_basic  (0) 2022.08.2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