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우터(Router)

저번 포스트에서는 라우터의 부팅 및 기본정보에 관한 부분을 다뤄보았다.

이번에는 기본적인 환경설정과 라우팅 작업 시 주로 사용되는 명령어 등을 알아보자

 

 

● 장치명 설정

초기 부팅 시 라우터는 "Router", 스위치는 "Swtich"라는 동일한 이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라우터 및 스위치를 관리함에 있어 모든 장치의 이름이 동일하다면

장치를 구별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장치의 이름을 임의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명령어 "hostname" 존재한다, 장치명 변경은 전역 설정모드에서 가능하다.

 

기존 "Router"에서 "Cisco_RT"로 장치명을 변경

** 영문(대/소문자), 숫자, 기호가 사용 가능하며 공백은 사용이 불가(63자 까지 설정가능)

 

 

● DNS Lookup

라우터의 CLI 콘솔 창에서 명령어를 잘못 입력(오타)했을 때,

라우터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없는 명령어인 경우 IOS가 DNS 서버를 찾아 해결(Solve)을 시도한다.

이 때 소요되는 시간이 1분 정도로 꽤 오랫동안 소요될 수 있는데,

"no ip domain lookup" 명령어를 이용하여, "오타는 오타로 여길뿐 검색은 해결은 필요없다"에 해당하는 설정을 해줄 수 있다.

 

DNS Lookup을 해제
DNS Lookup 실행화면

만일 위의 그림과 같이 오타 해결을 진행중이라면,

"Ctrl + Shift + 6"을 순서대로 입력하여 강제종료가 가능하다.

 

 

● 암호 설정

스위치/라우터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의 접근을 차단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라우터 접속부터 모드별 설정, 원격접속에 관한 암호를 설정해줄 수 있다.

 

- Console Password : 사용자 모드에 관한 암호 설정(라우터 접속과 동시에 이뤄짐)

 

- Enable Password : 사용자 모드에서 관리자 모드로 전환 시 요구되는 암호를 설정(평문)

 

- Enable Secret : 사용자 모드에서 관리자 모드로 전환 시 요구되는 암호로, "Enable Password"보다 우선적으로 적용(암호화)

ex) Enable Password = hello / Enable Secret = Korea 일 때, "Korea"를 입력해야 모드 전환이 가능하다.

 

- VTY(Virtual Teletype) Password : 텔넷/SSH 접속 시 사용되는 암호 설정(텔넷은 보안상의 이유로 거의 사용X)

 

 

"Console Password"설정

 

"Console Password" 설정하고 라우터 종료 후, 재접속 시도 시 암호를 요구하는 것을 확인

 

"Enable Password와 Secret"을 동시에 설정

 

암호화 처리되어 보이지는 않지만, "korea"를 입력하여 모드를 전환했음을 확인

 

 

● 설정내용 관련

작업자가 스위치/라우터에서 작업(라우팅 설정, 정책 설정 .. 등)을 하게되면

해당 작업내용은 RAM에 저장되는데, 해당 기억장치는 휘발성(Volatile) 기억장치로

전원이 내려가게 되면 작업내용도 전부 소실된다.

다음 부팅 시 사용하지 않을 설정내용이라면 저장하지 않아도 상관 없지만,

추후에도 사용할 예정이라면 NVRAM(Non-Volatile)에 작업정보를 저장해야한다.

 

작업 내용을 NVRAM에 저장해주는 명령어로는,

"copy running-config startup-config""write memory" 두 가지가 존재한다.

(각각 "copy run start"와 "wr"로 축약하여 사용이 가능)

 

RAM에 있는 작업 내용을 NVRAM에 저장시키는 과정 Enter를 입력하여 넘어갈 수 있다.

 

NVRAM에 저장된 설정내용을 확인

"show startup-config" 명령어를 통해서 NVRAM에 저장된 설정내용을 확인할 수 있고,

"erase startup-config" 명령어를 이용하여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설정내용을 삭제할 수도 있다.

(관리자 모드 이상에서는 명령어 앞쪽에 'do'를 붙여서 명령어 수행이 가능) 

 

RMA에서 작업한 설정내용을 확인

위에서 보았던 "show startup-config"와 전체적인 내용을 보면 

크게 다른점은 느낄 수 없지만, 실제 작업을 한 후에 본다면 차이점을 확연히 알 수 있다.

해당 명령어는 NVRAM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을 출력해주는 것으로,

 

"show running-config"의 경우 현재 작업된(혹은 진행) RAM 상에 존재하는 

설정 내용들을 출력해주는 역할을 한다.

("sh run"으로 축약하여 사용이 가능)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Static_Route  (0) 2023.02.20
[Network]Port_Security  (0) 2022.11.25
[Network]Router_01  (0) 2022.11.21
[Network]VLAN  (0) 2022.11.16
[Network]STP_Algorithm  (0) 2022.11.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