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우터(Router)

라우터의 대표적인 역할과 특징으로는 상대방에 이르는 경로를 찾아주며
다른 네트워크(VLAN, Subnet 등)를 묶어주는 역할을 한다.

2계층 장비인 스위치와는 달리 브로드캐스트를 통과시키지 않음으로써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나누어준다는 것이 있고, 상대 노드로 통신하기 위한 경로를
계산하여 데이터를 이동시킨다는 것에 있어서 속도가 빠르지는 않다는 점이 존재한다.

● 라우터의 구조와 부팅순서

라우터에 전원을 올리고 실행하게 되면 POST(Power On Self Test)를 실행하여 장치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ROM(Read-Only Memory)에 있는 부트스트랩 코드(Bootstrap Code)를 실행시켜 Flash Memory에 있는
IOS(Internetwork Operating System)NVRAM(Non-Volatile RAM)에 있는 설정파일
RAM(Random Access Memory)에 복사하여 라우터를 실행시키게 된다.

NVRAM과 Flash Memory는 비휘발성 기억장치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데이터를 잃지 않는다.

▼ 정리
- ROM : Bootstarp Code(Bootloader), Restore Tools(시스템 복구 : 안전모드)
- Flash Memory : IOS(Internetwork Operating System)
- NVRAM : 설정파일(startup-config)

► 전원 On → POST 실행(장치 이상유무 확인) → 부트 스트랩 코드 실행 → IOS, 설정 파일을 RAM에 올려 라우터를 실행

● IOS의 세 가지 버전

- Base 버전 : 라우터 실행에 필요한 기본기능만 갖춘 것
- Plus 버전 : IBM 메인프레임과 연결하는 기능 등 추가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
- Encryption 버전 : 40비트 혹은 56비트 암호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56비트 암호화는 미국 외에서 구매불가)

● 라우터와 PC를 연결

라우터에 직접 연결 시, 콘솔 케이블로 라우터와 컴퓨터를 연결하고
PC에서 시작 → 보조 프로그램 → 통신 → 하이퍼터미널 or 터미널 프로그램 순으로
수작업으로 설정을 진행하여 연결이 가능하며, 


Windows7 부터는 putty, XShell 등으로 Serial(COM) 연결을 진행할 수도 있다.

COM Port는 COMumunication Port를 의미하며 COM1-COM3 / COM2-COM4로, 네 개의 가상포트를 가지고 있다.

** 장치 관리자에 진입하여 Port Number를 확인할 수 있다.

 

  

● 라우터 실행

IOS가 없거나 손상되었거나 비밀번호 분실 등으로 진입하는 rommon모드

** 본 그림은 예시를 위해 부팅화면에서 Ctrl+C(Break)를 사용하여 임의로 진입

IOS를 정상적으로 읽어들여 부팅되었을 때 볼 수 있는 화면

제조사, OS의 정보 및 소프트웨어 정보, 리소스의 정보들을 간략하게 출력해준다.

라우터를 처음 설정할 때 대화 모드로 설정할지를 묻는 문구

대부분 사용하지 않는다고 한다.(필요하지 않은 부분이 많기 때문)
"no"를 입력하면 RETURN 키를 눌러 라우터 설정을 시작라는 문구가 나온다.

 

 

● IOS CLI Mode

IOS CLI 모드를 나열

기본적으로 라우터에 처음 접속하게 되면 사용자 모드(User Mode)로 접속되는데,
해당 모드에서는 제한적인 명령어만 사용이 가능하므로 관리자 모드로
전환 해주어야 한다. 사용자 모드의 콘솔 창에 "enable"을 입력하면 전환이 가능하고,
("en"만 입력해도 명령어 인식이 가능하다 혹은 TAB키 사용)

관리자 모드(Privilege Mode)에서는 간단한 설정과 라우터 동작에 관한 설정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라우터의 직접적인 동작에 대한 설정은 전역 설정모드(Global Configure Mode)
진입하여 가능하므로  관리자 모드에서 "configure terminal"을 입력하여 해당모드로 전환이 가능하다.
("conf t"만으로도 명령어 인식 가능)


지역(Local)모드 "config-if"의 경우에는 FastEthernet 0/0에 대한 설정을 진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설정 모드(Interface Configure Mode)로 가장 많이 사용되며
이 외에도 더 다양한 로컬 모드가 존재한다.

마지막으로 RXBoot 모드 "rommon 1>"는 ROM에 들어있으며 IOS를 업그레이드 하거나

관리자 암호를 재설정 및 복구 등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모드로써, 일종의 안전모드에서 IOS를 시작시킬 수 있는 모드이다.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Port_Security  (0) 2022.11.25
[Network]Router_02  (0) 2022.11.22
[Network]VLAN  (0) 2022.11.16
[Network]STP_Algorithm  (0) 2022.11.11
[Network]FDDI  (0) 2022.11.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