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Remote_access
부트로더(Boot Loader)
Linux에서는 부팅 과정을 핸들링하는 boot loader가 있는데, GRUB / GRUB2를 이용한다.
이는 리눅스 초기의 부트로더 LILO(LInux LOader)의 단점을 보완하여 개발된 것.
● LILO : 하드디스크의 물리적인 위치를 기점으로 부팅
● GRUB : 파일명과 커널이 위치하고 있는 파티션을 기점으로 부팅
** kernel version(3.x)부터는 GRUB2 를 사용한다.
사용자 전환(Shift User)
일반 사용자에서 root사용자로의 사용자전환 시 사용하는 명령어 'su'의 의미이다.
일반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는 /home/%username% 이고,
관리자 root의 홈 디렉토리는 /root 이다.
[사용자전환 시 옵션에 따른 특이사항]
● su (root) : 현재 작업위치가 /home/%username% 이라고 가정 시, 현재 경로에서 사용자만 root로 전환
● su - (root) : 현재 작업위치 /home/%username% 에서, 사용자도 root로 전환 및 작업위치 또한 root의 홈 디렉토리로 변경
** 홈 디렉토리는 해당 사용자가 작업할 때 모든 파일 등이 저장되는 장소이다.
외부에서 %username% 호스트로 vnc, telnet, ssh 등의 방법으로 Credential(Username + Password)
입력 후 원격 접속 시, 해당 %username%의 홈 디렉토리로 연결된다.
원격접속(Remote Access)
원격에서 Linux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으로는
● telnet : 평문장
● ssh : 암호화 문으로 전송
● vnc : 그래픽모드
● rlogin : 텍스트로 전송 (보안상의 이유로 근래의 시스템에서는 r~ 접속을 금지한다)
등이 존재한다.
이 때, 암호화를 사용한 원격 접속은 주고받은 데이터들이 hash함수로 인해 암호화되어서
패킷분석 툴, 일반적인 분석 소프트웨어로는 문장을 해석할 수 없다.
이처럼 평문장과 암호화의 차이를 직접 확인해볼 수 있다.
<<추가적인 정보>>
** 서버 프로그램에 ~d가 붙으면, daemon이라는 서버에서 백그라운드로 실행되는 서비스(프로세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