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Virtual_Machine
가상머신(Virtual Machine)에 대해서
일반적인 사용자(User)의 입장에서 가상머신(VM)이란,
하나의 물리적인 머신에 여러 실습용, 연구용, 테스트용 ... 등 머신을 설치,
일반적인 PC에는 설치할 수 없는 UNIX, Solaris, MacOS-X ... 등의 운영체제를
설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때, 외부컴퓨터(내가 사용하는 운영체제 Windows10,11..., MAC OS ...등)를 호스트 머신,
가상머신(Virtual Machine)에 설치되는 운영체제를 보고 게스트 머신 이라고 칭한다.
게스트 머신들은 하나의 파일로 취급이 되기 때문에, 얼마든지 복사, 삭제가 가능하고
호스트 머신의 CPU type에 종속적이지 않다.
** 가상머신의 종류로는 대표적으로 VMware, VirtualBox, VirtualPC / M1,2 MacOS 기준 현재로써는 Parallels **
** VMware와 Citrix == 가상화 전문 운영체제 **
● 운영체제(Operating System)에 대해서
사전적인 의미에서의 '운영체제' 란 모든 하드웨어와 모든 소프트웨어를 관리하는 컴퓨터시스템의
한 부분인 "실행 관리자" 라고 정의가 되어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참조)
추상적인 설명이긴 하지만 필자는 어디선가 들었던 내용인 "사용자가 하드웨어를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
하드웨어와 사용자 사이에서 이 둘을 연결해주는 장치" 라고 쉽게 서술되어있는 내용으로 현재까지는 이해하고 있다.
● 리눅스(Linux)
블로그 포스팅하는 기간동안 주로 다뤄보고 알아 볼 운영체제로써의 대략적인 설명이다.
리눅스의 가장 대표적인 특징으로는 오픈소스로써 소스코드가 공개되어 있다.
리눅스가 무료 운영체제여서 유료 운영체제보다 열등하다고 생각이 될 수 있지만,
리눅스는 기술적으로 거의 완벽한 운영 시스템이라고 한다.
리눅스 커널을 사용하는 운영체제, 이 이상의 설명까지는 추후 리눅스 관련 전문지식이
충분히 갖춰진 후에 수정하도록 하겠다.
리눅스의 배포판으로는 ---
● 데비안(Debian) 계열 : Debian, Ubuntu, Kali, BackTrack ...
● 레드햇(RedHat) 계열 : RHEL, CentOS, Fedora, Rocky ...
● 슬랙웨어(Slackware) 계열 : SuSE, Vector ...
이 외로도 리눅스는 말 그대로 오픈소스 운영체제이기 때문에, 다양한 배포판을 가지고 있다.
** 위 쪽에 나열된 리눅스의 경우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리눅스 **
● 유닉스(UNIX)
다른 운영체제와 달리 연구와 학문적인 목적의 환경에서 개발된 운영체제.
다중 사용자(Multi-users)와 다중 작업(Multi-tasks) 이 가능한 운영시스템으로,
지난 수십년간 대학과 연구소, 데이터 센터, 기업체(Enterprise) 등지에서 사용했다.
유닉스는 복잡하긴 하지만 유연함이 있기에 사용자들이 쉽게 시스템을 수정해서 다른버전으로 만들 수 있었다.
따라서 어느 목적의 어느 환경에서도 적합한 최적화된 시스템이 될 수 있었다.
** 이러한 속성을 가지고 태어난 운영체제가 리눅스이다 **
AT&T, 벨 연구소(Bell Lab)의 Ken Thompson, Denis Ritchie 가 1969년 개발했다고 공식되어 있지만,
원래 UNIX 운영체제 자체가 연구를 위한 시스템 개발에서 시작되어 실제 운영체제 설계에는
많은 연구원 및 개발자가 함께했을 것이라고 한다.
상용 UNIX의 종류 --
● Solaris, HP-UX, AI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