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Network]FDDI

Galahaad 2022. 11. 11. 13:18

FDDI(Fiber Distributed Data Interface)

 

내용출처 : https://commons.wikimedia.org/ (FDDI 구조)

 

FDDI는 100Mbps LAN을 위한 사양으로 토큰링과 유사한 토큰패스 형식을 사용하지만,

기존 토큰링에서 발생했던 치명적인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방식으로

광케이블로 구성되어 매우 빠르고 신뢰도가 높아서 백본(Backbone) 네트워크에서 주로 사용된다.

 

FDDI 링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도는 이중 링으로 구성되어져 있어, 1차 링(Primary Ring)에 문제가 발생해도

2차 링(Secondary Ring)을 통해서 즉시 프레임이 반대 방향으로 계속 흐를 수 있게 하는 래핑(Wrapping) 기법이 사용된다.

 

따라서 DAS(Dual Attached Station)장치의 NIC(Network Interface Card)는 4개의 인터페이스가 있어야 한다.

**  IN x 2, OUT x 2 = 4개

 

 

● 참고적으로 알아두면 좋을 광섬유의 데이터 전송 방식 두 가지

- 단일 모드 광섬유(Singlemode Light Propagation) : 광원으로 레이저(Laser)를 사용, 장거리에 적합

- 다중 모드 광섬유(Multimode Light Propagation) : 광원으로 LED(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 단거리에 적합

 

 

● FDDI 구성 방식

내용출처 : https://commons.wikimedia.org/

 

FDDI는 SAS(Single Attached Station), DAS(Dual Attached Station), 집중화기(Concentrator) 세 가지 방식으로 연결된다.

SAS는 위의 그림에서 보듯이 집중화기를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되므로 SAS를 끄거나 제거해도 문제가 발생되지 않지만,

DAS의 경우 1차 링과 2차 링에 모두 직접 연결 되어있기 때문에 DAS에 문제가 발생 시 네트워크 전체에 영향이 미친다.